📑 목차
내가 거주하고 있는 오래된 빌라의 계단실은 비가 오거나 습도가 높아지는 날이면 특유의 눅눅한 냄새가 올라오고, 벽면에 습기가 은근하게 맺히는 장면이 자주 보였다. 하지만 어떤 날은 눈에 띄게 촉촉한 벽면이 보이고, 또 어떤 날은 비슷한 환경인데도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었다.

이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궁금해진 나는 하루 동안 계단실의 습도 변화와 습기 응축이 나타나는 시간을 직접 관찰해보기로 했다. 나는 오전부터 밤까지 일정한 간격으로 계단실의 벽면·바닥·창문 근처를 살펴보며 실제로 보이는 변화들을 기록했다. 이 글은 하루 동안 관찰한 오래된 빌라 계단실 습기 응축 패턴 하루 실험 기록이다.
1. 계단실의 습기를 관찰하게 된 이유
내가 이 실험을 시작한 이유는 계단실에 들어설 때마다 느껴지는 공기 변화 때문이다. 어떤 날은 건조하고 깔끔한 느낌이지만, 또 어떤 날은 눅눅함이 심해 바닥까지 미끄러운 느낌을 준다. 이 현상이 무작위로 발생하는 것처럼 보였지만 분명한 패턴이 있을 것 같았다.
2. 기록 방식과 관찰 기준
- 관찰 기간: 하루(24시간)
- 관찰 주기: 2시간 간격
- 관찰 요소: 벽면 촉촉함, 물방울 유무, 공기 냄새, 바닥 미끄러움
- 관찰 위치: 1층 출입문 주변, 2층 계단 중간, 창문 옆 벽면
나는 휴대용 온습도계를 들고 각 지점을 돌아다니며 눈으로 보이는 변화와 공기 상태를 모두 기록했다.
오전 7시~9시 — 건조한 시작
아침 시간에는 계단실이 전체적으로 건조했다.
- 습도: 약 52%
- 벽면 상태: 건조
- 냄새: 거의 없음
밤 동안 문이 닫혀 있었던 덕분인지 공기가 차갑고 정적이었다.
오전 10시~12시 — 습기가 서서히 올라오는 구간
햇빛이 비스듬히 계단 창문을 통과하면서 내부 온도가 조금 올라가기 시작했다.
- 습도: 60%
- 벽면: 약하게 촉촉함 발생
- 특징: 창문 아래쪽에서 가장 먼저 습기 응축
나는 이 구간에서 햇빛 유입 + 외부 공기 온도 상승이 내부 습도에 영향을 준다는 점을 체감했다.
오후 12시~4시 — 습기 응축이 가장 활발한 시간
이 구간이 하루 중 습기가 가장 많이 응축되는 시간대였다.
- 습도: 68~72%
- 벽면: 손으로 만지면 물기가 느껴짐
- 바닥: 약하게 미끄러움 발생
- 특이점: 계단 난간 아래쪽 금속 부분에서도 물방울 맺힘
특히 2층 계단 중간 지점에서 가장 빠르게 물방울이 맺히는 모습을 확인했다.
오후 4시~7시 — 습기 정체 구간
외부 온도는 내려가기 시작하지만 계단실 내부 습도는 계속 높은 상태를 유지했다.
- 습도: 70% → 65%
- 벽면: 여전히 촉촉
- 냄새: 약한 눅눅한 냄새 유지
이 시간대는 내부 공기 순환이 거의 없는 구조 때문에 습기가 그냥 갇혀 있는 느낌이었다.
저녁 7시~10시 — 벽면 응축 감소 시작
저녁 8시 이후 벽면 촉촉함이 눈에 띄게 줄기 시작했다.
- 습도: 62%
- 벽면: 촉촉 → 약간 보송
- 이유 추정: 외부 기온이 내려가며 실내와 온도차 균형 형성
이 변화는 계단 창문 주변이 가장 먼저 나타났다.
밤 10시~새벽 2시 — 바닥만 남고 벽면 습기는 거의 사라짐
- 습도: 57%
- 벽면: 대부분 건조
- 바닥: 1층 출입문 근처만 약한 습기 유지
이 시간대는 외부 공기가 차가워지면서 계단실 전체 온도가 안정화되는 느낌이었다.
새벽 2시~7시 — 하루 중 가장 건조한 구간
- 습도: 50~52%
- 벽면: 완전 건조
- 냄새: 거의 없음
이 구간은 아침과 비슷한 조건으로 돌아가는 단계였다.
3. 하루 동안의 습기 응축 패턴 요약
- 정오~오후 4시 사이에 습기 응축이 가장 활발함
- 계단실의 벽면 중에서도 창문 아래쪽 → 2층 중간 지점 순서로 습기 발생
- 공기 흐름 정체 구간에서 습도가 더 빠르게 올라감
- 햇빛이 들어오는 창문 위치가 실내 습도 상승에 큰 영향을 줌
- 밤이 되면 습기가 빠르게 사라지며 건조 상태로 복귀
4. 관찰 후 느낀 점
계단실 습기 문제는 단순히 날씨가 습해서 생기는 게 아니라
건물 구조 + 빛 유입 + 내부 공기 흐름의 조합이라는 것을 이번 관찰을 통해 확실하게 알게 되었다.
앞으로는 창문 개방 시간을 조절해 공기 순환을 시도해보고,
습기 정체 지점을 중심으로 추가 실험을 해볼 계획이다.
'생활환경 관찰실험 > 습도·결로·곰팡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베란다 결로와 온도·습도 48시간 실측 분석 기록 (0) | 2025.11.23 |
|---|---|
|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동 연립주택에서 기록한 공용 계단 습기·곰팡이 발생 구역 추적 기록 (0) | 2025.11.21 |
| 서울 동작구 사당2동 오래된 원룸에서 기록한 실내 곰팡이 성장 패턴 관찰 일지 (0) | 2025.11.17 |
| 서울 강북구 번동 빌라에서 기록한 겨울철 결로 발생 시간대 분석 프로젝트 (0) | 2025.1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