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환경 관찰실험/생활 안전·불편 요소 조사

(3)
서울 동작구 대방동 비포장 골목에서 기록한 빗물 흐름 관찰 프로젝트 나는 대방동의 오래된 주택가를 자주 지나면서, 비가 오는 날이면 비포장 골목의 표면이 어떻게 변하는지 눈에 띄게 관찰해왔다.나는 평소에는 단순히 물웅덩이만 보였지만, 어느 날 골목을 걷다가 빗물이 일정한 방향으로 빠르게 흐르는 모습을 보고 이 흐름이 단순한 우연이 아니라 골목 구조 때문이라는 사실을 떠올렸다. 나는 바닥의 기울기, 배수구 위치, 골목 폭, 주변 건물의 높낮이가 흐름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생각했고, 실제로 빗물의 움직임을 기록해보고 싶은 마음이 생겼다. 그래서 나는 비가 내린 3일 동안 빗물의 흐르는 방향, 고이는 구역, 배수구로 흘러가는 속도, 바닥 재질이 영향을 주는 패턴 등을 직접 관찰했다. 나는 이 기록을 통해 비포장 골목이 단지 불편한 길이 아니라, 작은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
서울 구로구 고척동 오래된 아파트 단지에서 기록한 주차 공간 부족 문제 해결 과정 나는 고척동의 오래된 아파트 단지에서 몇 년 동안 생활하면서 주차 공간 문제를 가장 큰 불편 요소로 경험해왔다.내가 사는 단지는 건축 시기가 오래되어 세대수 대비 주차 면적이 충분하지 않고, 실제 생활에서는 퇴근 시간 이후에는 주차 가능한 자리를 찾기 위해 단지를 몇 바퀴나 돌아야 하는 상황이 반복됐다. 나는 단순히 ‘주차가 불편하다’라는 감정만 가지고 있었지만 어느 순간부터 이 문제가 구조적 문제인지, 시간대 문제인지, 혹은 생활 패턴 문제인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나는 한 달 동안 주차 패턴을 기록하며 혼잡 시간대와 빈 공간의 발생 규칙을 관찰하기 시작했다. 나는 주차 위치를 찾는 데 걸린 시간, 차량의 이동 흐름, 특정 요일의 패턴, 단지 내 구조의 문제 등을 하나씩 정리했고, 이 과정에서 작은 조정..
서울 동대문구 제기동 골목에서 직접 조사한 야간 보행 불편 요소 리포트 나는 평소 저녁에 제기동을 지나는 일이 많았고, 그 과정에서 느껴지는 보행 불편함을 그냥 스쳐 지나가기만 했다.그러나 어느 날 나는 내가 무의식적으로 피하고 있던 골목의 특정 지점들이 실제로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제대로 관찰해보고 싶어졌다. 제기동은 오래된 주택과 작은 상가가 섞여 있는 지역이기 때문에, 낮과 밤의 모습이 확연히 다르다. 나는 이 지역이 가진 특유의 골목 구조가 밤이 되면 보행자의 안전감과 이동 편의성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궁금해졌다. 나는 매일 지나는 길이지만 정작 그 길을 객관적인 시각으로 본 적이 없었다. 그래서 나는 제기동의 주요 골목을 직접 걸으며 조도, 장애물, 소음, 시야 확보 등을 기준으로 기록하기 시작했다. 이 글은 내가 실제로 걸으며 관찰한 사실만을 담은 보고서이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