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환경 관찰실험/습도·결로·곰팡이

(3)
서울 서대문구 북가좌동 연립주택에서 기록한 공용 계단 습기·곰팡이 발생 구역 추적 기록 나는 북가좌동의 오래된 연립주택에서 생활하면서 공용 계단 일부가 항상 축축하다는 사실을 오래전부터 의문으로 느껴왔다.나는 비가 오지 않는 날에도 계단 벽면과 난간 주변에 물기가 배어 있고, 곰팡이가 일정한 위치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는 점을 여러 번 경험했다. 나는 처음에는 단순히 건물 노후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생각했지만, 특정 위치에서만 반복적으로 습기가 발생한다는 점을 떠올리며 원인을 좀 더 정확히 알고 싶어졌다. 그래서 나는 10일 동안 공용 계단의 습기 분포, 바람 흐름, 조도, 벽면 온도, 곰팡이 발생 영역을 기록하며 문제의 흐름을 추적하기 시작했다. 나는 이 작은 기록이 생활 안전과 청결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느꼈고,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구조적 문제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고 판단..
서울 동작구 사당2동 오래된 원룸에서 기록한 실내 곰팡이 성장 패턴 관찰 일지 나는 사당2동의 오래된 원룸에서 생활하면서 벽면과 창가 주변에서 반복적으로 생기는 곰팡이 문제를 몇 년 동안 경험해왔다. 내가 사는 원룸은 외벽과 바로 접한 구조라서 겨울과 장마철마다 습도가 급격히 올라가고, 작은 온도 변화에도 벽체가 쉽게 눅눅해지는 특성이 있었다. 나는 처음에는 단순히 환기를 자주 하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 생활에서는 곰팡이가 특정 위치와 특정 시기에만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사실을 반복해서 확인했다. 나는 이 문제를 단순 청소로 해결하는 것이 아니라 정확한 발생 패턴을 이해해야 근본적인 대책이 나온다고 판단했다. 그래서 나는 4주의 기간 동안 원룸 내부에서 곰팡이가 어떻게, 어떤 조건에서 성장하는지 직접 기록하기 시작했다. 나는 이 기록에서 곰팡이가 생기는 위치, 시간대,..
서울 강북구 번동 빌라에서 기록한 겨울철 결로 발생 시간대 분석 프로젝트 내가 번동에서 겨울을 보냈었을때 창문 주변과 벽체 일부에서 결로가 생기는 현상을 반복적으로 경험해왔다. 내가 사었던 빌라는 지어진 지 오래된 구조라서 벽체 단열이 고르게 되어 있지 않고, 난방 방식도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실내의 온도와 습도가 쉽게 요동친다. 나는 매년 결로 때문에 벽지 변색이나 곰팡이 발생 위험을 겪으면서도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지 못한 채 단순 환기만 반복했었다. 그러나 올해 나는 이 문제를 좀 더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싶어졌다. 그래서 나는 하루 시간대별로 결로가 언제, 어떤 조건에서 생기는지 직접 기록하는 작은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나는 이 분석을 통해 결로가 사라지지 않는 이유와 실제로 개선 가능한 요소를 찾고자 했다. 이 글은 내가 관찰한 시간대별 변화와 결로 발생 조건을 기반..